개인의 성격, 정서, 적응수준 등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자기보고형 검사 타당도척도와 10개의 임상척도로 구성됨 -임상척도는 건강염려, 우울, 히스테리, 반사회성, 남성성/여성성, 편집, 강박, 정신증, 경조증, 내향성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고, 자아강도나 부정적 정서성, 지배성, 공격성 등을 비롯한 성격특성과 태도를 측정함.
4가지 양극적 선호경향지표를 조합하여 16가지 성격유형으로 분류함 -에너지방향과 주의초점에 따라 외향형과 내향형 -인식기능(정보수집)에 따라 감각형과 직관형 -판단기능(의사결정)에 따라 사고형과 감정형 -행동방식(생활양식)에 따라 판단형과 인식형 자신의 주기능과 부기능, 3차기능, 열등기능을 앎으로써 주기능과 열등기능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파악 양극적 선호경향의 파악을 통해 자신에게 의미있는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에서 관점의 차이를 알고 상대방의 협조를 얻기 위한 소통방안 등을 살펴볼 수 있음
04.
PAT(부모양육태도검사)
지지표현, 합리적 설명, 성취압력, 간섭, 처벌, 감독, 과잉기대, 비일관성 등 8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됨 자녀보고용 검사와 비교하여 부모가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양육태도와 자녀가 인식하는 부모 모습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고 양육방향을 재설정하도록 도움